섹션 70202는 “자격을 갖춘 초과근무 수당”에 대해 소득공제(above-the-line deduction)를 허용합니다. 즉, 특정 초과근무 수당을 소득에서 직접 차감할 수 있어 근로자와 자영업자, 소상공인 모두에게 세금 부담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항목별 공제 여부와 관계없이 적용됩니다.
주요 내용 및 적용 방식
- 공제 대상:
- 자격을 갖춘 초과근무 수당: 1938년 공정노동기준법(FLSA) 7조에 따라 “정규 임금”을 초과하여 지급되는 초과근무 수당
(팁 수입 제외, 반드시 정식으로 급여보고서에 기재되어야 함) - 사회보장번호(SSN) 필수: 세금 신고 시 반드시 SSN을 입력해야 공제 가능
- 부부: 반드시 합산 신고를 해야 부부 모두 공제 받을 수 있음
- 자격을 갖춘 초과근무 수당: 1938년 공정노동기준법(FLSA) 7조에 따라 “정규 임금”을 초과하여 지급되는 초과근무 수당
- 공제 한도:
- 개인: 연간 최대 12,500달러
- 부부(합산 신고): 연간 최대 25,000달러
- 소득에 따른 공제 감소(페이즈아웃):
- 개인: MAIG – Modified Adjusted Gross Income – (수정을 거쳐. 조정된 총 소득)이 15만 달러를 초과할 경우, 초과 1,000달러마다 100달러씩 공제액이 감소함
- 부부(합산 신고): MAGI가 30만 달러 초과 시, 동일 방식으로 공제 감소
- MAGI 산정 시 해외근로소득 등(IRC 911, 931, 933) 포함
- 신고 및 확인:
- 고용주는 근로자 W-2 양식(19번란)에 자격 있는 초과근무 수당을 명확히 기재해야 함
- 1099 등 비직원 지급시에도 IRS가 정한 양식으로 보고 필요
- SSN 미기재 시 자동으로 세무상 오류로 간주, 공제 불가
- 적용 및 종료일:
- 2025년 이후 과세연도부터 적용
- 2028년 말 과세연도까지만 한시적으로 시행 (연장될 수 있음)
수혜 대상
- 근로자(W-2): 초과근무가 많은 제조, 의료, 공공안전, 운송 등 업종의 시간제·일급제 근로자
- 자영업자·프리랜서: FLSA에 준하는 명확한 초과근무수당 지급 및 보고 체계가 있는 경우에 한함 (현실적으로 적용받기 어렵지만, 해당 요건 충족 시 가능)
- 소상공인/고용주: 자신에게 급여를 지급하며, 초과근무수당을 정식으로 지급·보고하는 경우에 한함. 직원 관리 및 보고 시스템 업데이트 필요
- 고소득자: 소득이 상기 기준을 초과할 경우, 공제 혜택이 제한됨
제한사항 및 유의점
- 반드시 공식적으로 보고된 초과근무수당만 공제 가능 (비공식 현금 지급 등은 해당 없음)
- 팁은 제외 (식음료 등 서비스업에서 팁이 주수입인 경우, 추가 공제 없음)
- 공제 요건 충족 여부에 대해 IRS가 추가 규정 및 지침을 마련할 수 있음
- 이중 공제 금지: 초과근무가 아닌 일반 급여 등은 공제 불가
적용 사례
- 사례 1:
김씨는 2025년에 연봉 60,000달러, 초과근무수당 15,000달러(자격 요건 충족)를 받음.
12,500달러까지 소득에서 공제 가능. - 사례 2:
이씨 부부가 각각 20,000달러씩 초과근무수당을 받아 합산 40,000달러. 부부 합산 신고시 최대 25,000달러까지 공제 가능.
MAGI가 310,000달러라면 10,000달러 초과이므로 1,000달러(100달러 x 10) 만큼 공제액이 줄어 24,000달러 공제.
주요 적용 일정
- 2025년 1월 1일 이후 과세연도: 공제 적용
- 2028년 12월 31일 이후 과세연도: 공제 종료
- 2026년 1월 1일 이전 기간의 경우, “합리적인 방식”으로 분리 계상 허용
요약
항목 | 한도 및 조건 |
---|---|
개인/부부 최대 공제액 | 12,500달러 / 25,000달러 |
소득 페이즈아웃 시작 (개인/부부) | 15만 달러 / 30만 달러 (MAGI 기준) |
페이즈아웃 속도 | 1,000달러 초과 시마다 100달러 공제 감소 |
자격 있는 초과근무수당 | FLSA상 정규임금 초과, 팁 제외, 공식 보고 필수 |
보고 방식 | W-2/1099, SSN 필수 |
적용 연도 | 2025~2028년 과세연도 |
비항목공제자 적용 | 가능 |
자영업자 적용 | FLSA 준하는 초과근무수당 지급 및 보고 체계 필요 |
이 조항은 4년간 한시적으로 초과근무수당에 대한 소득공제를 허용하여, 근로자와 중간 소득층, 초과근무가 잦은 업종 종사자에게 실질적 세금 혜택을 제공합니다. 하지만 명확한 보고 및 세부 요건 준수가 필수이며, 고소득자나 비정규 임금 지급자, 팁 수입자 등은 혜택이 제한됩니다. 2028년 이후 자동 종료되며, 연장될 경우 추가 입법 필요합니다.
Disclaimer
세법 및 규정은 복잡하며 자주 변경됩니다. 따라서, 이 웹사이트에 제공된 내용은 항상 최신법률이나 세금 규정의 수정사항을 반영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제공된 자료는 예고 없이 변경, 개선, 업데이트 될 수 있습니다. 자세히 보기
Tax laws and regulations are complex and often subject to frequent changes. Therefore, the content available on our website might not always reflect the most recent legal developments or the latest amendments in the tax regulations. Read Full Disclaimer
Reference
*https://www.congress.gov/bill/119th-congress/house-bill/1/t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