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한국 정부는 현지 시각 7월 30일, 새로운 무역 협정에 합의했다고 공식 발표했습니다. 이번 합의는 미국의 대(對)한국 수입품 관세율을 조정하고, 한국의 대미 투자 및 에너지 구매를 포함하는 내용을 골자로 합니다.
1. 주요 관세 변경 내용
대미 수출 관세: 자동차를 포함한 모든 한국산 수입품에 대해 15%의 관세가 적용됩니다. 이는 이전에 미국 측이 언급했던 25%보다는 낮은 수준입니다.
대미 수입 관세: 미국산 상품이 한국으로 수입될 경우 관세가 부과되지 않습니다.
기존 관세 유지: 철강, 알루미늄, 구리 품목에 부과되던 50%의 관세는 이번 합의와 관계없이 현행대로 유지됩니다.
2. 투자 및 에너지 구매 약속
투자: 한국은 미국에 총 3,500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에너지 구매: 한국은 향후 3년 6개월에 걸쳐 1,000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 등 에너지 제품을 구매하기로 했습니다.
3. 투자에 대한 양국 발표 내용
투자금의 성격에 대해 양국 정부는 각각 다른 내용을 발표했습니다.
미국 측 발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해당 투자가 “미국에 의해 소유 및 통제되고, 대통령인 자신이 직접 선정할 것”이며,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은 “수익의 90%가 미국 국민에게 돌아갈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한국 측 발표: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해당 투자금이 ‘미국 조선업 재건’을 위한 1,500억 달러를 포함해, 반도체, 2차 전지 등 한국 기업의 미국 시장 진출을 지원하는 펀드라고 설명했습니다.
4. 기존 무역 구도와의 비교
자동차 관세: 이번 합의 이전, 한미 FTA에 따라 한국산 자동차의 대미 수출 관세는 0%였으며, 유럽연합(EU)산 자동차는 2.5%였습니다. 이번 합의로 한국과 EU 모두 15%의 동일한 관세율을 적용받게 됩니다.
GDP 대비 투자 규모: 이번에 합의된 3,500억 달러는 한국 GDP(약 1조 7천억 달러)의 약 20.5%에 해당하는 규모입니다. 앞서 미국과 협상한 일본의 투자액 5,500억 달러는 일본 GDP(약 4조 2천억 달러)의 약 13% 수준이었습니다.
결론적으로 이번 한미 무역협정은 25%라는 고율의 관세 시나리오를 피했다는 단기적 성과는 있었지만, 그 대가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상당한 실리를 내주었다는 평가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가장 핵심적인 손실은 기존 한미 FTA를 통해 확보했던 자동차 분야의 경쟁 우위가 완전히 사라졌다는 점입니다. 무관세 혜택이 사라지고 유럽 등 경쟁국과 동일한 15% 관세율을 적용받게 되면서, 한국 자동차 산업은 미국 시장에서 매우 불리한 경쟁 환경에 놓이게 되었습니다.
또한 GDP 규모에 비해 경쟁국인 일본보다 훨씬 높은 비율의 대규모 투자를 약속했으며, 이 투자금의 성격과 수익 배분을 놓고도 양국 간의 발표 내용에 뚜렷한 차이가 있어 향후 불확실성을 남겼습니다.
Disclaimer
세법 및 규정은 복잡하며 자주 변경됩니다. 따라서, 이 웹사이트에 제공된 내용은 항상 최신법률이나 세금 규정의 수정사항을 반영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제공된 자료는 예고 없이 변경, 개선, 업데이트 될 수 있습니다. 자세히 보기
Tax laws and regulations are complex and often subject to frequent changes. Therefore, the content available on our website might not always reflect the most recent legal developments or the latest amendments in the tax regulations. Read Full Disclaimer
Reference
*https://www.reuters.com/world/asia-pacific/trump-says-us-will-set-15-tariff-south-korean-imports-under-new-deal-2025-07-31/